영원한 지금을 걷는다

'지금 여기', 내면세계를 상징하는 그 언어가 이제는 일상에서도 보편화되었다. 불가의 인연, 기독교의 회개처럼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있다. 물질에서 정신으로 넘어가는 21세기의 여정을 가르키는 나침반 같기도 하다.



   지금 여기 본질 왜곡



그러나 일상에서 원용되는 '지금 여기'는 그 본질이 많이 왜곡되어 있다. 흘러가는 시간 속에 과거, 현재, 미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 시간은 그렇게 존재하지 않는다. 개념상의 편의를 위해 부득이 과거, 현재, 미래라는 이름을 지었지만 내게 실제로 작용하는 시간은 오직 지금 밖에 없다. 10년 전의 나를 추억한다면 그건 지금의 내가 하는 것이다. 10년 뒤의 미래를 걱정한다면 그것 역시 지금의 내가 하는 것이다. 

오늘은 개념상으로 판단하면 어제 기준에선 내일이다. 그러나 실제로 살아가는 나는 오늘도 오늘을 살고, 어제도 오늘을 살았고, 내일도 오늘을 살 것이다. 

우리는 그 누구도 오늘, 더 정확히 말하면 지금만을 체험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과거, 현재, 미래를 끝없이 이어붙인 것이 영원이 아니라 바로 지금이 영원이 된다. 영원한 지금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물과 사물, 현상과 현상 사이에 경계를 나누고 이름을 짓다보니 이상한 혼선이나 왜곡까지 뒤따르는 것이다.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도를 도라고 하면 본래의 도가 아니고
    이름을 그렇게 하면 본래의 이름이 아니다)

노자 도덕경의 첫 문장도 이렇게 개념에 속아 본질을 놓치지 말라는 경고로 시작하고 있다. 

사랑이라 부르면 본래의 사랑이 아니고, 미움이라 부르면 본래의 미움이 아니고, 구원이라 부르면 본래의 구원이 아니고, 해탈이라 부르면 본래의 해탈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이름짓고 그렇게 구분하는 것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의사를 전달할 수 없기에 부득이 그렇게 했을 뿐이다.
 


   지금 여기의 자기기만
   

'지금 여기', '지금 있는 그대로'-왠지 있어 보이는 이런 고품격 언어도 자칫 잘못하면 자신에 대한 속임수로 작동하기 십상이다. 켄 윌버는 <무경계>에서 그 교묘한 자기 기만을 통렬하게 지적했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 달아남을 중지시킬 수 있단 말인가? 예컨데, 그는 지금 이 순간 자신이 지금으로부터 달아나려고 애쓰고 있음을 안다. 따라서 그는 지금으로부터 달아나는 짓을 멈춰야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멈추려는 행위 자체는 또 다른 움직임에 지나지 않는다.
.
달아나지 않으려는 것도 멈춤이 일어난 미래의 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또 하나의 움직임에 불과하다. 달아남을 멈추는 대신, 단지 달아남으로부터 달아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조잡한 저항의 자리를 보다 미묘하지만 똑같은 저항이 대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른바 진퇴양난에 빠진 형국이다. 움직이면 움직여서 문제고 멈추면 멈춰서 문제가 된다. 앉으면 앉아서 잘못이고, 서면 서서 잘못이고, 엉거주춤하면 엉거주춤해서 잘못이다. 무엇을 해도 잘못이고 어떻게 해도 문제가 될 뿐이다. 


   캔 윌버의 심플한 해답



그럼 도대체 뭘 어떻하라고? 그러나 켄 윌버가 제시하는 해답은 예상외로 심플하다.

"자신의 모든 움직임이 달아나려는 하나의 저항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진실로 이해하게 되면 모든 저항의 음모는 진정된다. 자신의 모든 움직임 속에서 이 저항을 알아차리게 되면 자발적으로 모든 저항을 전적으로 내려놓게 된다. 

이 저항의 내려놓음 자체가 합일의식의 열림이며 무경계 자각의 실현이다. 개인은 마치 꿈에서 깨어난 듯 그간 언제나 알고 있던 사실, 즉 '분리된 나'로서의 자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의 진정한 나인 전자(the All)은 결코 태어난 적이 없으며, 죽지도 않을 것이다.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은 전방위에 전조건으로써 빛을 발하면서 절대적으로 편재하는 '진여로서의 의식'이다."

그런가? 모든 것은 바다 속의 작은 포말에 지나지 않는단 말인가? 그 많은 시도와 노력들이 하나의 저항이나 외면, 달아남에 불과했단 말인가? 그렇다면 다른 선택의 여지는 없다. 놓아버리고 내맡기는 것, 그것 뿐이다. 

#놓아버림 #내밑김 #자기기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블로그스팟 첫 개설(25.8.8.금)

불운 잠재우기

마음 영역에서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